바다위 동동 세 쉼표… 튤립과 새우젓에 눈과 입이 즐겁다

전남 신안군 임자면 대기리 정수장에서 바라본 대광해변. 오후 2시쯤인데도 바다안개가 스멀스멀 피어올라 몽환적 풍경을 자아내고 있다. 무려 12km나 되는 대광모래밭은 정작 안개에 젖어 보이지 않고, 임자승마장 건물(왼쪽)만 어렴풋이 눈에 잡힌다. 바다 건너 섬타리 육타리 섬이 아슴아슴하고, 오른쪽 민어잡이 배들이 그림처럼 떠 있다. 임자도를 키운 건 팔할이 모래다. 그 모래밭에서 대파가 쑥쑥 자라고, 그 고운 먼지모래를 먹고 흰꽃새우가 살을 찌운다. 모래갯벌엔 민어떼들이 알을 낳아 구물구물 새끼를 친다. 촬영=성치풍 신안군 임자면장
《섬은 바다에 핀 꽃이다. 파란 물결에 점점이 피어난 꽃. 그 꽃에 배들이 쉬었다 가고, 갈매기가 새끼를 친다. 섬은 조류가 흐르다가 ‘멈춰 선 곳’. 그래서 ‘섬(立)’이다. 파도에 맞서 떡 버티고 서있다. 파도는 끊임없이 섬의 옆구리를 할퀸다. 섬은 그러거나 말거나 뭇 생명들을 포근히 감싼다. 섬과 섬 사이에 바다가 있다. 섬과 바다 사이엔 사람이 있다. 힘들 때 혼자서 훌쩍 가고 싶은 섬, 슬플 때 슬며시 찾아가 실컷 울고 싶은 섬, 그 섬들을 찾아 떠난다.》
아리랑 전장포 앞바다에
웬 눈물방울 이리 많은지
각이도 송이도 지나 안마도 가면서
반짝이는 반짝이는 우리나라 눈물 보았네
보았네 보았네 우리나라 사랑 보았네
재원도 부남도 지나 낙월도 흐르면서
한 오천년 떠밀려 이 바다에 쫓기운
자그맣고 슬픈 우리나라 사랑들 보았네
꼬막껍질 속 누운 초록 하늘
못나고 뒤엉킨 보리밭길 보았네
보았네 보았네 멸치 덤장 산마이 그물 너머
바람만 불어도 징징 울음 나고
손가락만 스쳐도 울음이 배어나올
서러운 우리나라 앉은뱅이 섬들 보았네
아리랑 전장포 앞바다에
웬 설움 이리 많은지
아리랑 아리랑 나리꽃 꺾어 섬 그늘에 띄우면서
-곽재구의 ‘전장포아리랑’에서
신안 임자도(荏子島)는 ‘들깨섬’이다. 한자 ‘荏子(임자)’가 ‘들깨’라는 뜻이기 때문이다. 왜 들깨섬일까. 섬모양이 들깻잎을 닮아서인가, 아니면 예로부터 들깨가 많이 나서인가. 요즘 임자도는 새우젓과 대파, 민어의 섬이다.
임자도 새우젓은 전국 생산량의 60%(신안산은 전국 85%)를 차지한다. 전장포(前場浦)가 바로 그 중심이다. 주민들은 전장포를 ‘앞장불’이라고 부른다. ‘마을 앞의 평평한 모래마당’이란 뜻이다. 1980년대 전후 새우파시로 흥청거렸을 정도로 이름났다. 임자도엔 한옥마을도 있다. 전남도에서 행복마을로 지정한 진리마을이 바로 그곳이다.
전장포는 음력 오뉴월이 북새통이다. 새우잡이 배들로 가득하다. 모래처럼 희고 고운 백화새우가 득시글하다. 꼬리가 동백꽃처럼 붉고 살이 통통하다. 껍질이 얇고 육질이 단단하다. 그 새우로 담근 육젓(음력 유월에 담근 젓)을 으뜸으로 친다. 탱글탱글한 데다 달큼하고 감칠맛이 은근하다. 마을 산자락의 4군데 토굴(각 104m)에서 숙성시킨다. 요즘 게르마늄젓갈타운 조성이 한창이다.
임자도는 모래섬이다. 그래서 ‘임자도 처녀는 모래 서 말은 마셔야 시집을 간다’는 말이 나왔다. 온 섬이 모래로 이뤄졌다. 대파농사(1000여 ha)가 잘되는 이유다. 겨울철 서울 가락시장에 출하되는 대파는 대부분 임자도 대파라고 보면 된다. 대파는 물이 없어서도 안 되지만, 물이 많아도 쉽게 죽어버린다. 비가 와도 물이 잘 빠지는 모래밭이 안성맞춤이다.

수백만 송이의 튤립이 피어나고 있는 대광해변.
대광해수욕장은 폭 300∼400m에 길이가 자그마치 12km나 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규모가 큰 ‘명사삼십리 모래밭길’이다. 걸어서도 3시간은 족히 걸린다. 이미 해변승마의 메카로 이름이 자자하다. 6월 해수욕장 개장에 앞서 열리는 말마라톤(20∼40km)대회는 보는 것만으로도 시원 짜릿하다. 수평선을 배경으로 200여 마리의 말이 모래밭을 질주하는 모습은 장쾌하다.
대광해수욕장에선 매해 봄이면 튤립축제(올 4월 20∼29일)가 열린다. 수백만 송이의 튤립이 생글생글 웃으며 반긴다. 올 27, 28일엔 전국 처음으로 ‘전국아마추어 해변 골프대회’가 선을 보인다. 모래가 가늘고 부드러워 잔디골프와는 또 다른 맛을 느끼게 해준다. 첫날 근접상 및 장타대회, 둘째 날 9홀대회로 치러진다.
‘사람보다 꽃이 더 많고/꽃보다 튤립이 더 많은/작은 네덜란드/튤립의 나라/꽃들의 천국이다/지상의 천국이다/천국처럼 환해서 실명할 수도 있음/난시도 관람불가 근시도 관람불가/단! 꽃과 같은 사람만 관람허용/임자도엔 꽃 같은 사람만 가라’
-개명후 박선우 ‘임자도엔 꽃 같은 사람만 가라’에서
지도(智島)는 증도와 임자도의 목젖이다. 반드시 지도를 거쳐야 두 섬에 닿을 수 있다. 옛날부터 신안 북부 섬지방의 행정교육 중심지다. 구한말 위정척사운동에 앞장섰던 중암 김평묵(1819∼1891)이 바로 이곳에서 유배생활(1881∼1884)을 했다. 1901년 조성된 두류단엔 김평묵 최익현(1833∼1907) 등 조선후기 유림 거장들의 유적이 많다. 지도향교도 그 흔적 중의 하나다.
신안 북부 일대에서 잡힌 물고기는 지도 송도어판장으로 모인다. 임자도 부근에서 잡힌 새우나 민어 병어 꽃게 갑오징어도 마찬가지이다. 여름엔 발 디딜 틈이 없다. ‘물 반 병어 반, 물 반 민어 반, 물 반 새우 반’이다. 6월 병어축제가 그 시작이다. 복달임 음식으로 으뜸인 민어도 이곳 송도어판장에서 경매된 것들이 전국으로 팔려나간다.
신안=김화성 전문기자 mars@donga.com

'박선우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년 여름호 시 산맥 발표 (0) | 2014.04.10 |
---|---|
독서신문에 발표시 (0) | 2014.03.30 |
2014년 봄호 문학공간 발표 시 (0) | 2014.03.26 |
2014년 봄호 시와정신 발표시 (0) | 2014.03.20 |
2013년 리토피아에 실린 시 (0) | 2014.02.13 |